최근 노트북에 Window 10 과 Kali 2019 듀얼 OS환경을 구축하였다.그러면서 메인 OS 가 윈도우에서 Kali로 넘어 가게 되었는데, PC 카톡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겪는 불편함이 많아 kali에 카카오톡을 설치하기로 하였다. 현재 카카오톡은 리눅스용 PC 카톡을 지원하고 있지 않다.따라서 칼리에서 카톡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눅스에서 윈도우 프로그램을 도와주는 wine 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한다. 1. Wine 설치하기와인 공홈에 있는 안내에 따라 wine 4.0을 설치 해준다. sudo dpkg --add-architecture i386 wget -nc https://dl.winehq.org/wine-builds/winehq.key sudo apt-key add winehq.ke..
칼리 리눅스를 제대로 설치 했는데 부팅을 하니까 검은색 화면이 뜨면서 부팅이 되지 않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나도 겪은 일인데 해결법이 잘 정리 되어 있는 곳이 없어서 포스팅 하게 되었다. 부팅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해결방법은 여러가지가 나와있지만 가장 좋은 해결 방법은kali linux full 버전 말고 라이트 버전을 설치 하여 full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이다. 라이트 버전을 설치 한 뒤 apt-get install kali-linux-full 을 입력하면 칼리 리눅스의 풀버전을 사용 할 수 있다. 풀버전 설치 후 검은 색 화면이 뜨면서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본인의 컴퓨터보다 vm 이 너무 무거워서 그럴 수 있다.그럴 때는 리눅스 라이트 버전을 먼저 설치하고 풀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함..
- 라즈베리파이 서버
- shell 취약점
- 개인서버구축
- 라즈베리파이 환경 설정
- 공유기 중복사용
- export
- 라즈베리파이 초기설정
- pwnable.kr
- 칼리리눅스
- rasberry pi 3
- export 함수 설정
- 펌웨어 분석
- 원격 공격
- 보안 CTF
- 모바일
- 인터넷연결안됨 공유기 중복사용
- 환경변수 취약점
- 보안 공부용
- 동적분석
- 인터넷 연결안됨
- CTF
- CVE-2014-6271
- 라즈베리파이 3
- 쉘 취약점
- 포너블.kr
- shellshock PoC
- 인터넷 노란색 세모표시
- 프로세스생성
- 환경변수 함수 설정
- raspberry b+
- Total
- 5,483
- Today
- 1
- Yesterday
- 25